레오니드 쿠치마

최근 편집일시 :



레오니드 쿠치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국가원수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발데즈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띠네즈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엔히크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우크라이나 제2대 대통령
레오니드 다닐로비치 쿠치마
Леонід Данилович Кучма
Leonid Danilovich Kuchma
파일:쿠치마 대통령.jpg
출생1938년 8월 9일 (85세)
소련 우크라이나 SSR 체르니고프주 노브고로드세베르스키군 차이키노[1]
재임기간제2대 대통령
1994년 7월 19일 ~ 2005년 1월 23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다닐로 프로코피예비치 쿠치마
어머니 파라스카 트로피모브나 쿠치마
형제자매형 올렉산드르 쿠치마[1]
자매 비라 티모셴코
배우자류드밀라 쿠치마[2]
자녀올레나 핀추크[3]
학력드네프르페트롭스크 주립대학교[4] (기계공학 / 준석사)
신장176cm
소속 정당
[[무소속|
무소속
]]
[1] 광부였으며 1984년 사망.[2] 혼전성은 '탈랄라예바(Талалаєва)'.[3] 우크라이나 철강 재벌인 빅토르 핀추크의 아내이다. 클린턴 재단과 관계가 깊다.[4] 현 올레스 혼차르 드니프로 국립대학교.

1. 개요
2. 약력
3. 생애
4. 평가



1. 개요[편집]


우크라이나의 제2대 대통령.


2. 약력[편집]




3. 생애[편집]


1938년 우크라이나 SSR 북부 체르니고프주에 위치한 작은 시골마을에서 태어났다. 드네프로페트롭스크 주립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위를 따냈고 이후로 유즈마시에서 우주항공공학 일을 하면서 동시에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 소련 공산당을 비판하면서 당시에는 당내 개혁파로 거물급 인사가 되었으며 소련 붕괴 직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자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대통령 치하에서 총리가 되었지만 1년만에 사임했다.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는 정치 불안정, 중앙정부의 경제통제 와해, 구소련 구성국들과의 협조 붕괴, 과중한 에너지 수입부담 등으로 인해 엄청난 물가상승과 사회복지 붕괴, 지하경제 창궐로 몸살을 앓았다.

또한 당시 대통령 크라우추크는 더 이상 먹히지도 않는 통제경제정책을 고수하면서 우크라이나의 경제혼란을 가중시켰다. 쿠치마는 크라우추크 대통령의 경제정책을 적극적으로 비판하여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표를 쓸어담아 199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52%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쿠치마는 통화안정을 위하여 통화발행을 억제했으며 이를 통해 물가상승률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여전히 지하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경제성장률도 낮았던데다가 무엇보다 IMF 외환위기가 터지는 바람에 쿠치마의 경제운용 능력에 대해 의문점이 생기면서 지지율이 떨어졌다. 그러나 199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결선투표에 올라온 후보가 공산당 후보였던 페트로 시모넨코(Петро Симоненко)였기 때문에 서부의 지지를 압도적으로 얻어 재선되었고,[2] 빅토르 유셴코를 총리로 지명하면서 부작용이 있기는 했어도 어쨌든 이때부터 우크라이나의 경제가 성장기조로 돌아서며 우크라이나 경제의 완전 정상화에 성공을 거두었고 1990년대 말부터 7%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올렉산드르 모로즈에 의해 쿠치마가 영화감독이자 기자였던 조지아계 우크라이나인 헤오르히 곤가제(Георгій Ґонґадзе, 19692000) 암살을 명령했다는 테이프가 공개되는 카세트 게이트가 터지고[3] 쿠치마가 10억 달러 가량의 거액을 빼돌렸다는 것이 폭로되면서 지지율이 떨어졌다. 결국 2002년 총선에서 득표율 3위에 그치는 참패를 당했다. 이후 올렉산드르 모로즈, 빅토르 유셴코 등을 중심으로 우크라이나의 야당들과 개혁파들이 '쿠치마 없는 우크라이나'라는 운동을 벌이며 반대시위를 벌인 탓에 레임덕이 가속화되었으나 탄핵되지는 않았다

이렇게 레임덕에 시달리던 상황이라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출마를 포기하고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자신의 후계자로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밀어주었다. 야누코비치는 우크라이나 공산당의 지지를 얻으며 순항할 것 같았지만 우크라이나 개혁파와 우크라이나 사회당을 비롯한 중도좌파 세력의 지지를 얻은 유셴코와 경합이던 상황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유셴코를 대상으로 한 암살시도 사건이 벌어지는 등 선거과정에서 의문스러운 상황이 계속 벌어졌고, 결국 동부지역에서 중복투표 사례가 대규모로 적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 선거가 번복되는 사태가 벌어졌다(일명 오렌지 혁명). 그 결과 정적으로 돌변한 유셴코가 대통령이 되는 것을 지켜봐야 했고, 마지막까지 나라가 난장판이 되는 것을 지켜보며 임기를 마쳤다.

이후 전직 대통령으로서 오렌지 혁명과 관련된 사건이나 헤오르히 곤가제 사건을 어찌어찌 넘어가며 실질적으로 처벌받지 않았고, 유로마이단 이후로는 우크라이나 측 외교대표를 맡고 있다. 즉, 구린 일은 많았지만 실질적으로 어느정도 평가가 다시 올라가면서 명예가 회복된 셈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하자 러시아를 비판하는 성명을 냈다. #


4. 평가[편집]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집권하는 동안 유럽연합미국, 러시아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하면서 전임 크라우추크 대통령이 말아먹었던 경제분야를 개혁하고 발전시켰다. 그와 동시에 비밀경찰을 운용하면서 정적과 언론을 탄압하는 폭압적인 권위주의 통치를 하며 민심을 잃었지만, 막장이었던 자국 경제를 어느 정도 복귀시켜 놓은 공은 부정할 수 없다.

자기 임기가 끝나자 미련없이 지위에서 내려왔다는 점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 역사상 연임한 대통령은 아직까지 이 사람이 유일하다. 또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총리 및 대통령으로서 우크라이나를 이끌어간 율리야 티모셴코, 빅토르 유셴코, 빅토르 야누코비치 등 우크라이나의 주요 정치인을 양성했다는 점에서 인재발굴 능력도 인정받고 있다. 셋 다 평판이 안 좋고 말아먹기는 했지만...

물론 2기 임기 중후반기의 정국혼란을 스스로 자초했다는 점이나, 개혁파와 친러파 양쪽에게 미움 살 행동을 했다는 점 때문에[4] 한동안 평가가 좋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티모셴코, 유셴코, 야누코비치가 그러한 쿠치마만도 못한 정치력을 선보인 데다가 경제위기 해결에도 무능한 모습을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쿠치마의 평가가 올라갔다. 특히 2013년 유로마이단 이후로는 우크라이나 측 대표를 맡으면서 외교전선에서 활동을 재개했고, 그 덕분에 가장 평가가 높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라는 여론조사도 나오고 있다.

[1] Чайкино. 현 우크라이나 체르니히우주 노우호로드시베르스키군 차이키네(Чайкине).[2] 1991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과 더불어 우크라이나에서 동서구도가 무의미했던 대선이다. 정확하게는 서부에서 비아체슬라우 초르노빌(В'ячеслав Чорновіл) 후보가 서부 3개주에서만 1등을 달렸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크라우추크가 압승을 거두어서 동서 구도가 별의미가 없었던 것.[3] 헤오르히 곤가제는 조지아 출신으로 반정부 성향의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의 공동 창립자였다. 2000년 9월 16일 실종되었는데 2달 뒤인 11월 3일 키이우 근교의 한 숲에서 목 없는 시체로 발견되었다.[4] 전자는 부정선거 사례 때문에, 후자는 야누코비치의 당선을 막히게 만들었다는 점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1:32:58에 나무위키 레오니드 쿠치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